학교디자인을 ‘교사(校舍) 및 공간 구성, 가치체계, 교육과정 등 학교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적이고 합리적인 변혁활동’으로 정의했다. 이에 따라 학교디자인의 8대 영역(① 인적자원 디자인 : 교직원 구성, 정규직과 기간제 교사 구성 등 ② 가치체계 및 학교풍토 디자인: 단위학교 사명, 핵심가치, 비전 및 학교풍토 등 ③ 교사(校舍) 및 시설 디자인 : 교육 공간, 환경, 각종 교육 시설 등 ④ 교육과정 디자인 : 변혁적 교육과정, 창의적 체험활동 디자인, 방과후학교 교육과정 등 ⑤ 수업 디자인 : 수준별 이동수업과 협력학습 비교, TED식 수업 모형 디자인, 수업 지원 디자인 등 ⑥ 학생 역량 개발 디자인 : 학생상, 학생회 활동 등 ⑦ 교원 역량 개발 디자인 : 책무성, 교사역량 개발, 학습조직 운영 등)에 대한 실천 가능하고 효과적인 변혁(reform)을 시도했다. 물론 제시한 방법이 ‘정답’은 아니다. 그러나 서술 내용에 독자의 비평을 연결하면 단위학교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최적, 최선의 답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.